ㅣ 60년을 기다린 복수
뇌종양 말기, 80대 알츠하이머 환자인 한필주(이성민)는 일제강점기 때 친일파들에게 가족을 모두 잃었습니다. 아내가 세상을 떠나자 필주는 60여 년을 계획해 온 복수를 감행하려고 합니다. 그는 파트타임 중인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절친한 친구가 된 20대 일용직 인규(남주혁)에게 일주일만 운전을 도와 달라고 부탁합니다. 고급 외제차를 몰아보는 것이 꿈이었던 인규는 단번에 승낙하고, 이유도 모른 채 필주를 따라나선 인규는 첫 복수 현장의 CCTV에 노출되어 유력 용의자로 지목됩니다. 경찰은 수사망을 좁혀오고 사라져가는 기억과 싸우며 필주는 복수를 이어갑니다. 60년의 계획, 복수를 위한 위험한 동행이 시작됩니다.
ㅣ 친일파를 향한 거침없는 단죄
'복수극'이라는 전개를 지닌 만큼 영화 '리멤버'에는 다양한 액션 장면들이 등장할 예정입니다. 그 다양한 액션 장면 중에서도 특히 필주가 선보일 '친일파 처단 액션 장면'이 가장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무려 60년간 철저히 준비하고 계획한 복수답게 인정사정 없이 과감하게 처단하는 필주의 모습이 비칠 것 같은데 공개된 예고편들을 살펴보니 생각한 것보다 더 리얼하게 완성된 느낌이라 그저 믿고 보면 될 것 같고 이와 더불어 다양한 액션을 통해 필주의 감정을 잘 전달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실제 제작진은 필주의 액션을 느리지만 강력하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매번 이성민 배우의 캐릭터 소화 능력을 보면 놀랍기만 합니다. 그동안 다양한 연기 변신을 해왔던 만큼 더 이상 보여줄 캐릭터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엔 무려 80대 노인 캐릭터이자 60년간 복수를 준비한 필주라는 인물을 연기했다는 소식에 감탄밖에 나오질 않았습니다. 그는 필주 캐릭터를 위해 특수분장부터 자세, 목소리, 움직임의 속도와 걸음걸이까지 모든 것을 신경썼다고 합니다. 실제 완성된 필주의 모습만 봐도 꼿꼿하지 않은 구부정한 허리와 어깨로 표현되는 자세부터 거친 호흡과 느린 걸음걸이까지 퀄리티가 상당하다고 느껴졌는데, 한 명의 캐릭터를 탄생시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이 함께 한 만큼 이성민 배우가 연기한 필주의 모슨 설정들을 주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제강점기와 복수라는 소재를 결함해 현대 시점으로 극을 이끌어 온 것은 신선하지만 극의 전개가 다소 예측 가능하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입니다. 그러나 일본과의 과거 청산 문제를 두고 '과거를 잊고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는 일각의 주장과 그들로 인해 평생을 고통받으며 살아온 필주의 대비를 통해 우리 사회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결말에 배치한 반전은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묵직한 질문도 남깁니다.
ㅣ '이일형'감독은 어떤 감독일까?
'리멤버'의 메가폰을 잡은 이일형 감독은 6년 만에 새로운 작품을 세상에 선보였습니다. 이일형 감독은 '리멤버'의 언론 배급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검사외전' 이후 6년만에 신작으로 돌아온 것에 대해 감회가 새롭고, 개봉이라는 날짜를 놓고 보니 '검사외전' 이후로 시간이 많이 지났다는 얘기를 하면서 운을 뗐습니다. 이일형 감독은 데뷔작인 '검사외전'에 이어 '리멤버'는 두 번째 영화이지만 연출을 해봐서 편한 건 아니며, '검사외전' 촬영 당시 몸이 크게 아프고 힘들었었는데 이번 '리멤버' 촬영은 크게 아프지 않고 촬영을 했다고 합니다. 두 번째 촬영이고 기술적으로 나아졌기 때문에 이겨내는 방법과 연출 짐을 이겨내는 방법을 터득해서 그런 것 같다며 너스레를 떨었다고 합니다. 또한 이일형 감독은 '검사외전'도 '리멤버'도 버디무비인 점에 대해 "'검사외전'과 장르적으로 다른 이야기다. '검사외전'이 이 사건을 두고 검사와 사기꾼이 쫓고 쫓기는 톰과 제리 같은 버디 무비라면 이것은 중요한 이야기다. 복수라는 센 이야기 속에서 80대 노인과 20대 청년이 갖는 남자들만의 우정을 그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세대의 이야기고 우리 할아버지, 그리고 할아버지의 손자뻘 되는 남자가 펼치는 세대간의 화합과 교류 감정, 이런 것에 대해서 포커스 맞춰서 인물들을 그리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션 코미디 영화 범죄도시2(2022), 줄거리 후기 평가 (0) | 2022.10.14 |
---|---|
[홍콩영화] 중경삼림(Chungking Express, 1994) 이별 만남 상징성 (0) | 2022.10.14 |
인터스텔라(2016), 물리학과 러브스토리의 하모니 (0) | 2022.10.11 |
[한국영화] 헤어질결심(Decision to leave, 2022) 줄거리, 정보 (0) | 2022.10.11 |
[추억의영화] 타짜(The War of Flower) 16년이 지나도 세련미 가득한 영화, (0) | 2022.10.10 |